창업을 하면 누구나 이런 생각, 한 번쯤 하게 됩니다.
“지금 받을 수 있는 지원이 뭐가 있을까?”
“정부 지원, 나도 받을 수 있을까?”
그 질문에 매년 등장하는 제도가 바로 초기창업패키지입니다.
이번 2025년 공고를 기준으로, 꼭 확인해야 할 핵심만 정리했습니다.
✍️ 이 글은 중소벤처기업부 2025 공고 및 창업진흥원 사업안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초기창업패키지란?
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창업진흥원이 총괄하는 대표 창업지원사업입니다.
창업 3년 이내 기업을 대상으로, 아래 내용을 통합 지원합니다.
- 사업화 자금
- 멘토링
- 창업교육
- 판로 개척
- 후속 투자 연결
✅ 자금만 보는 경우가 많은데, 실제로는 투자·보증 연계까지 이어지는 ‘성장 트랙’이 핵심입니다.
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- 2020년 3월 11일 이후 창업한 기업 (공고일 기준)
- 신청일 기준 창업 3년 이내
- 사업자등록 완료
- 대표자 실명 일치 필수
❗
예비창업자는 대상이 아닙니다. 예비창업패키지를 따로 확인해 주세요.
(출처: K-Startup 창업지원포털)
무엇을 얼마나 지원하나요?
- 사업화 자금: 평균 7천만 원, 최대 1억 원
- 멘토링: 업종별 전문가 배정
- 교육: 필수 및 집중형 창업 교육
- 판로개척: 공공조달, 수출, 바우처 연계 등
- 후속지원: TIPS, 보증, 투자 연계 가능
📌 자부담은 평균 30% 수준입니다. 예: 7천만 원 지원 → 약 2천만 원 자비 필요
(출처: 창업진흥원 2025년 사업안내서 기준)
신청 일정과 방법은?
📌 신청 마지막 날은 서버 폭주 주의!
사전 등록 후 미리 저장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(출처: 신청자 커뮤니티 사례)
운영기관은 어디인가요?
전국 45개 기관에서 신청을 받고 있으며,
지역·분야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서울: SBA, 한양대학교
- 경기: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, 아주대학교
- 부산/경남: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, 경상국립대 등
- 강원/충청: 강원대, 충북대, 청주대 등
📌 기관별 분위기나 멘토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 외에도 지원 성향을 꼭 확인하세요.
(출처: 창업진흥원 운영기관 안내 2025)
자주 묻는 질문
Q. 예비창업자도 가능한가요?
A. 아니요. 사업자등록을 완료한 창업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Q. 자부담도 꼭 현금이어야 하나요?
A. 대부분 현금 기준입니다. 현물 비중은 제한적입니다.
Q. 다른 정부사업과 중복되면 안 되나요?
A. 기존 수혜 이력이 있다면 제한될 수 있습니다. 반드시 공고문을 통해 확인하세요.
관련 기관 및 공식 자료
※ 본 글은 2025년 4월 기준이며, 중소벤처기업부 및 창업진흥원 공고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정책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최신 공고 확인을 권장드립니다.
📚 함께 보면 좋은 글